-치주염 증상, 치료방법 및 예방방안

양치질을 할 때 잇몸에서 피가 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흔하고, 증상이 저절로 좋아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무시합니다. 그러나 이를 닦을 때 잇몸에서 피가 난다면 치주염이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치주염은 치아 주변의 잇몸이 세균에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키고 잇몸과 치아를 지탱하는 뼈가 파괴되는 질환입니다. 오늘은 치주염의 원인과 증상, 치료,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치주염의 원인 2. 치주염 증상 3. 치주염 치료방법 4. 치주염 예방 및 관리방법

1. 치주염의 원인 치주질환은 잇몸에 발생하는 감염성 염증질환입니다. 잇몸에만 염증이 생긴 경우를 치은염이라 하고, 치은염이 악화되어 잇몸뼈와 주변 조직까지 염증이 퍼진 경우를 치주염이라고 합니다.

치주염의 직접적인 원인은 치석과 플라그입니다.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 덩어리인 플라그를 양치질로 제대로 청소하지 못하고 오랫동안 입안에 방치하면 석회화가 진행되어 딱딱한 치석이 형성됩니다. 치석을 제거하지 않으면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프리보텔라 인터미디어(Privotella intermedia) 등의 세균이 치석 주변에 모여 염증과 치주염을 일으킨다. 또한, 고혈압약, 면역억제제, 항경련제, 경구피임약 등의 약물 복용의 영향으로 사춘기, 임신, 월경, 당뇨병 등의 호르몬 변화, 백혈병 등의 혈액질환, 치주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2. 치주염 증상

치주염은 초기 단계에서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간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염증이 점차 진행되면서 출혈, 붓기, 잇몸이 썩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치아가 아프고 흔들리는 증상을 경험할 수도 있으며, 씹을 때 치아에 힘을 가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전보다 치아가 길어진 느낌이 들고,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많이 끼어 불편한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심해지면 치수에 염증이 생기고 가만히 있어도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치아가 저절로 빠질 수도 있으며 틀니를 사용하셨던 분들은 틀니가 잘 맞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3. 치주염 치료방법 치은염 초기에는 간단한 스케일링으로 치료할 수 있으나, 치주염으로 진행된 경우에는 치근활택술, 치은박리소파술, 잇몸이식, 치주조직 재생 등을 통해 좀 더 본격적인 잇몸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스케일링에. 치근활택술 수술적 치료는 잇몸 아래 치근 표면에 치석이 부착된 상태에서 국소 마취하에 큐렛을 이용하여 치석과 염증 유발 조직을 제거하는 시술입니다. 스케일링만으로는 증상이 호전되기 어려울 때 적용하는 비수술적 잇몸치료 방법입니다. 이 시술은 치주염이 더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치은박리소파술은 잇몸 속 깊은 곳의 염증을 제거하고, 치아뿌리 주변 잇몸뼈의 손실을 예방 및 회복시키는 수술입니다. 치아를 지지하는 뼈인 치조골에서 잇몸을 분리한 후 치석과 염증조직을 제거합니다. 치료 중 마취를 하기 때문에 큰 통증은 없으며, 치료 후 처방된 진통제를 복용하시면 회복에 큰 어려움은 없습니다. 잇몸 내부의 눈에 보이지 않는 공간에서 치주질환을 깨끗하게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잇몸 이식은 손상된 잇몸 라인을 복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치주조직재생은 상실된 잇몸과 치조골을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키는 잇몸치료방법입니다. 잇몸뼈가 회복 불가능하게 녹은 경우에는 치아 추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자연치아를 발치하면 임플란트 수술을 통해 인공치아를 심게 됩니다.4. 치주염 예방 및 관리 방법 치주염 예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세균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플라그와 치석에는 박테리아가 붙어 있기 때문에 플라그가 생기지 않도록 양치질을 잘 해야 합니다. 치아와 잇몸의 경계 부분에 칫솔을 대고 가볍게 진동시킨 후, 손목을 바깥쪽으로 회전시켜 치아 표면을 쓸어내는 것이 좋습니다. 칫솔모 끝부분을 치아와 잇몸 사이에 넣어 음식물 찌꺼기를 쓸어낸다는 생각으로 구석구석 꼼꼼히 닦아주는 것도 중요하다. 40세 이상이고 치주염이 발생하기 쉬운 경우에는 양치뿐 아니라 치간칫솔, 치실, 구강용품 등을 사용해 치아 사이 공간도 깨끗하게 닦아야 한다. 치석은 치아에 단단히 붙어 있어 양치질이나 치실로는 제거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치과에 방문하여 스케일링을 통해 제거해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만 19세 이상 건강보험 가입자라면 누구나 저렴한 비용으로 1년에 한 번 스케일링을 받을 수 있도록 건강보험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그것을 추천합니다. 오늘은 치주염의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 예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치아 주변의 뼈가 녹으면 회복이 어려우므로 정기적으로 치과에 내원하여 구강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